실내의 공기질 확보 또는 온열 환경 개선 등 명확한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실내·외의 공기를 교체하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일반적인 빌딩과 주택의 공조 환경에서 냉난방 기기에 의한 온도조절은 만족을 얻을 수 있지만,
환기 부족에 의한 실내공기의 오염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려면 환기 기기를 사용한
강제적인 급기와 배기에 의해 확실히 환기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열교환기는 실내공간의 수많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해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국가공인 환기시스템입니다.
오늘날 에너지 비용의 증가에 따라 에너지 절감 및 열 손실 감소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형태로 건축물의 설계가 이루어짐으로써
이에 따라 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 및 오염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인체와 건축구조물에 심각한 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WHO는 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수는 연간 최대 300만명이며, 특히 실내공기 오염에 의한 사망자는 28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실내오염 물질이 실외오염 물질보다 인체의 폐에 전달될 확률은 1,000배 높으며 실내오염 20% 저감시 급성기관지 사망률 4~8% 감소 예상됩니다.
현대의 건축물은 에너지 절감 및 열 손실 감소를 위한 설계를 적극적으로 지향해,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자재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등으로 실내 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오염원이 곳곳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 실내공기가 원활히 교환되지 못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재실자의 인체에 아토피나 건강 악화 등 심각한 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 좌우스크롤로 표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농도(ppm) | 농도변화의 영향 | |
---|---|---|
~450 | 건강한 환기 관리가 된 레벨 | |
~700 | 장시간 있어도 건강에 문제가 없는 실내 레벨 | |
~1,000 | 건강 피해는 없지만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 레벨 | CO₂ 그 자체의 유해한가가 아닌, 공기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이 CO₂의 증가에 비례하여 악화한다는 가정에서 오염의 지표로서의 허용용도를 의미함. |
~2,000 | 졸림을 느끼는 등 컨디션 변화가 나오는 레벨 | |
~3,000 | 상당한 불량으로 어깨 결림이나 두통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 등 건강 피해가 생기기 시작하는 레벨 | |
~4,000 | 최고 불량으로 두통,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오고, 장시간으로는 건강을 해치는 레 | |
~5,000 | 장기안전한계 (미국노동위생) ACGIH, 노동자의 사무소규칙 | |
~20,000 | 호흡 깊이, 흡기량 30% 증가 | |
~30,000 | 작업노화, 생리기능의 변화, 호흡수 2배 | |
~50,000 |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의 깊이 회수를 늘임. 호흡시간이 길어지면 위험. O₂의 결핍을 수반하면 장해는 빨리 생겨서 결정적으로 됨. | |
~80,000 | 10분간 호흡하면 강도의 호흡곤란, 안면홍조, 두통을 일어킴. O₂의 결핍을 수반하면 장해는 더욱 현저하게 됨. | |
~180,000 이상 | 치명적 |